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약개발5

기술가치평가-rNPV법08-case study1 이번 글에서는 rNPV법으로 평가하는 사례를 살펴봅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을 먼저 살피고, 다음 글에서는 로열티율을 사용하는 것도 살피겠습니다.  가) 일반 rNPV 방법1) 평가개요① 평가목적: 투자참고용② 대상기술: DDS 기술을 이용한 장기지속형 제제 관련 국내 특허(기존 경구제를 주사제로 제형을 변경한 개량신약)③ 제품 및 목표시장: 퇴행성질환치료제(치매치료제)④ 업종: 완제의약품 제조업(C21210)⑤ 개발단계: 전임상 진행 중 2) 가정 및 조건① 사업모델: 자체 사업화를 통한 주사제 공급② 사업주체: 국내 비상장 중기업③ 목표시장 범위: 국내시장④ 사업화 준비기간: 5년(전임상, 임상1상∼3상) 3) 기술가치 산출(가) 기술의 경제적 수명경제적 수명: 적용모델 II 사용IPC 분.. 2023. 5. 15.
기술가치평가-rNPV법07-임상 단계별 성공확률 이번 글에서는 신약승인 확률을 임상단계별로 나누어 성공확률을 알아보겠습니다.내용 중간에 기술가치평가 실무가이드에서 제공하는 예시도 그대로 담아서 이해하시는데 보탬이 되도록 정리하겠습니다.시작하겠습니다. 1) 전임상 이전 단계 성공확률신약개발은 초기 개발단계일수록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다는 속성이 있음.따라서 유효물질-선도물질-후보물질 단계에 속한 약물인 경우 임상(1상~3상) 단계의 단계별 성공 확률만을 반영하면 대상 물질에 내재된 위험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함.즉 전임상 단계의 후보물질 또는 전임상 이전 단계의 유효물질이나 선도물질인 경우, 이와 관련된 불확실성(성공확률)을 추가로 반영하는 것이 필요함.유효물질-선도물질-후보물질 내에서도 구분 없이 모두 동일한 위험을 적용하는 경우가 .. 2023. 5. 12.
기술가치평가-rNPV법06-로열티 수입 이번 글은 로열티 수입(로열티 수입의 구조, front 수입, 경상로열티 수입)에 대해서 알아봅니다.그리고, 로열티를 기반으로 현금흐름 추정하는 법과 여기에 적용할 할인율을 추정하는 법도 알아봅니다.마지막으로 신약승인확률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마) 로열티 수입1) 로열티 수입구조로열티 기반 rNPV 방법을 사용할 경우 로열티 수입은 출시 이전의 Front 수입과 상용화된 이후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의 일정 비율을 로열티로 받는 경상로열티로 구분함.신약개발 계약전임상임상승인신청승인완료+ 신약 총 계약 금액로열티계약(선불)금 (upfornt)단계별 기술료경상로열티 ( running royalty)계약체결 후 일정기간 내 받는 금액개발단계별 성공시 받는 금액기술이전 결과 매출시현 후 받는 금액 .. 2023. 5. 12.
기술가치평가-rNPV법05-로열티율 이번 글에서는 로열티율 결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로열티율은 유사기술의 이전 사례, 업종평균 등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제한될 경우, 기준로열티율을 참고하여 추정합니다.실무적으로 유사기술의 사례를 찾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그래서 해당 기술 또는 산업 분야를 분류하는 레벨을 상위로, 상위로 올려가며 사용합니다.그런데 이러다 보면 과연 이것이 유사 사례일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예를 들면, 호미를 만드는 기업의 유사 사례를 찾으려고 했는데 호미를 만드는 기업 또는 제조 관련 기술의 거래 사례가 없다면 농기구 제조업의 사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마저 없다면 기구 제조업, 이것도 없다면 제조업의 사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른 이야기지만 위 사례에서 호미를 만드는 기업의 유사 기업을 찾았다고 하여도 .. 2023.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