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

기술가치평가 기술거래 기본개념 기술가치평가를 한다는 것은 기술거래를 하기 위해서일 것입니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기술거래란 무엇인지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봅니다.1. 기술거래 정의기술 거래에 대한 전문가들의 정의는 다양합니다. 기술 거래의 대상은 기술이나 지식으로 표현되며, 발명, 발견, 혁신적인 성과 등의 포괄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또한, 대상을 기술과 지식 및 노하우, 기술과 지식 및 정보, 기술과 프로토타입으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각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완벽하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이와 비교하여 한국의 "기술이전 및 상용화촉진에 관한 법률"은 기술의 범위를 지적재산권 및 지적재산권의 산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반도체 집적회로 레이아웃 설계, 소프트웨어, 그리고 이들에 .. 2023. 5. 25.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을 창출하는 근본적 변화, 인적자원, 혁신의 긴급성 이번 글에서도 무형자산에 대해서 기본적인 것들에 대한 생각을 이어갑니다.무형자산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무엇일까요? 근본적 변화, 인적자원, 혁신의 긴급성이라는 주장을 Baruch Lev이 합니다. 서론미국 S&P 500대 기업의 평균 시장가치 대 장부가액의 비율이 198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되더니 2001년 초에는 6배까지 도달하였습니다. 시가 6달러 중에서 1달러만 재무상태표에 반영이 되고 있다는 뜻이지요.그럼 나머지 5달러는 뭘까요? 거품? 투기심? 물론 이런 것들도 있겠지만 미국의 500대 기업이고 20년간의 데이터이니 거품과 투기만은 아니겠지요.그런데 기억하시는 것과 같이 2000년대 초에 주가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주가만으로 무형자산을 이야기하기는 어렵겠네요.하지만 1980년대 초반 이.. 2023. 5. 23.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의 정의와 발생원천 이번 글에서는 더 근본적인 내용으로 무형자산의 정의와 발생원천에 대해서 알아봅니다.그렇지만 아주 간단하고 얕게 정리해 봅니다. Baruch Lev의 글을 인용하였습니다.1. 용어 정의와 다른 표현가. 정의무형 : 확실하거나 정확하게 정의하거나 결정할 수 없는 것자산 : 자산은 상업용 재산에 대한 임대료나 사채로 인한 이자, 생산설비에서 도출되는 현금흐름 등과 같은 미래효익에 대한 청구권무형자산 : 실물이나 금융상의 형체(주식이나 사채)를 가지고 있지 않는 미래 효익에 대한 청구권- 특허, 브랜드를 비롯하여 원가를 절감해 주는 고유한 조직구조(예를 들어, 인터넷 기반의 공급사슬) 나. 학문 분야별 다른 표현무형자산(iniangibles) - 회계학에서 주로 사용지식자산(knowledge assets) - .. 2023. 5. 18.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과 기업 이번 글에서는 기업을 구성하는 요소인금융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대해서간단하게 살펴보고 생각해 보겠습니다.기업은 금융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것은 기업의 규모와 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통용됩니다.또, 각 유형별 자산의 가치를 알면 기업의 총가치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그런데 각 유형별 자산을 별개로 존재한다고 가정하고평가(이것이 가능할까도 의문이긴 합니다.)한 값보다어떤 지향하는 목표를 향해 움직이고 있는 기업,각 자원을 효과적으로 잘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전제로 평가한 값이 높을 것입니다.이것은 계속기업과 청산기업의 가치평가 방법이다른 이유와 같습니다.물론 평가결과도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잘 아실 것입니다. 각설하고 각 유형별 자산을 살펴보며 생각할 점을 찾아보겠..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