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더 근본적인 내용으로 무형자산의 정의와 발생원천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그렇지만 아주 간단하고 얕게 정리해 봅니다. Baruch Lev의 글을 인용하였습니다.

1. 용어 정의와 다른 표현
가. 정의
- 무형 : 확실하거나 정확하게 정의하거나 결정할 수 없는 것
- 자산 : 자산은 상업용 재산에 대한 임대료나 사채로 인한 이자, 생산설비에서 도출되는 현금흐름 등과 같은 미래효익에 대한 청구권
- 무형자산 : 실물이나 금융상의 형체(주식이나 사채)를 가지고 있지 않는 미래 효익에 대한 청구권
- 특허, 브랜드를 비롯하여 원가를 절감해 주는 고유한 조직구조(예를 들어, 인터넷 기반의 공급사슬)
나. 학문 분야별 다른 표현
- 무형자산(iniangibles) - 회계학에서 주로 사용
- 지식자산(knowledge assets) - 경제학에서 주로 사용
- 지적자본(iniellectual capital) - 경영학과 법학에서 주로 사용
- 지적재산(iwellechual property) : 미래효익 대한 청구권이라는 근본적으로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 이 청구권이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 등의 경우처럼 법적으로 보호를 받을 때는 일반적으로 지적재산(iwellechual property)이라 한다.
2. 무형자산의 발생원천(결합요소)과 구분
가. 발생원천(결합요소, nexuses) - 발견(연구), 조직실무, 인적요소
1) 발견(연구)
머크(Meck)사의 경우, 무형자산 대부분은 자체 또는 외부 조직과의 연구개발을 통해서 생성되었다.
제약회사들은 연간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연구개발비를 집행하고 있으며 신약개발에 성공하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물질과 이들의 기작들을 발견하고 있다. 비단 제약/바이오/화학 분야만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2) 조직실무(조직설계 )
기업 내부의 조직과 업무 프로세스 등의 개선 및 정비를 통해서 무형자산이 생성될 수 있다.
오래된 예이지만 델(Dell)사는 전화나 인터넷으로 주문을 받아 제작한 컴퓨터를 고객에게 직접 마케팅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며 급성장하였고, 시스코(Cisco)사는 인터넷 기반 제품설치ㆍ유지시스템을 도입하여 1996~1998년 동안 15역 달러를 절감하였다고 한다.
무형자산의 예로 흔히 사용되는 브랜드(brand)도 혁신과 조직구조의 결합에 의해서 창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Coca-Cola)는 제조비법(음료의 맛) 외에 탁월한 마케팅 역량으로 창출된 브랜드이다.
3) 인적요소
종업원 훈련투자, 유인(incentive)에 기반을 둔 보상제도, 대학이나 연구소와의 제휴를 통한 학습 등과 같은 독특한 인사정책과 보상정책에 의하여 창출된다. 이러한 인적자원실무들로 인하여 고용주는 종업원의 이직을 감소시키고 직원들에게 긍정적인 유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과학자와 같은) 자질이 매우 높은 직원들의 고용을 촉진할 수 있다.
나. 다른 자산과의 구분
무형자산과 다른 형태의 자산들 간의 명확한 구분이 애매한 경우가 많다. 무형자산은 실물자산(예를 들어, 비행기에 포함된 기술과 지식)과 노동(종업원의 암묵적 지식)에 내재되어 있으면서, 가치창출 시에 유형자산과 상당한 상호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무형자산의 측정과 평가 시 심각한 문제가 야기된다.
또, 이러한 상호작용이 심할 때 무형자산만의 평가는 불가능하게 된다.
3. 정리
무형자산은 혁신(발전), 고유한 조직설계, 혹은 인적자원실무예 의하여 창출된 가치의 무형적 원천(미래효익에 대한 청구권)이다. 그리고 무형자산은 유형자산 및 금융자산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기업가치와 경제성장을 낳는다. 따라서, 제 생각으로 무형자산만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마치... 자음만 있으면 발음을 할 수 없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 |
|
기술거래기관 / 기술가치평가기관 발명의평가기관 사업화전문회사 / R&BD기획기관 가치평가 상담 rohmh@danapat.com 010 - 6430 - 2002 |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가치평가 기술거래 기본개념 (0) | 2023.05.25 |
---|---|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을 창출하는 근본적 변화, 인적자원, 혁신의 긴급성 (0) | 2023.05.23 |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과 기업 (0) | 2023.05.17 |
기술가치평가-rNPV법09-case study2 (1) | 2023.05.16 |
기술가치평가-rNPV법08-case study1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