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로열티율을 이용한 rNPV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단계씩 따라하시면 이론으로 공부한 내용이 잘 이해되실 것입니다.
그런데 꼼꼼히 따라하시다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막해지는 부분도 있으실 것입니다.
그런 점은 잘 챙겨서 이론 쪽에서 다시 확인해 주십시오.
설렁설렁 눈으로 따라 하시면 매우 쉽게 끝까지 따라가시겠지만
직접 산출하게 되실 때에서야 "내가 모르는 부분이 있었군.." 하실 것이니 꼼꼼하게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말씀드리는데 직접 평가하시는 분이 아니시더라도
평가법을 잘 숙지하고 계시면 평가받으실 때 잘 활용하실 수가 있습니다.
어떻게 쓰일지는 잘 아시지요?
시작합니다.
나) 로열티 기반 rNPV 방법(연구개발업)
1) 평가개요
① 평가목적: 기술이전
② 대상기술: 자연살해(NK) 세포 생산방법 등 10개 해외특허
③ 제품 및 목표시장: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④ 업종: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M70113)
⑤ 개발단계: 임상1상 진행 중
2) 가정 및 조건
① 사업모델: 국내 바이오기업에서 임상2상까지 완료 후 글로벌 제약업체에 기술이전
② 사업주체: 국내 비상장 대기업 ③ 목표시장 범위: 미국, 유럽, 중국 시장
④ 사업화 준비기간: 현재 임상1상 단계로 신약 승인까지 8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
3) 기술가치 산출
(가) 기술의 경제적 수명
- 경제적 수명: 적용모델 II 사용
- IPC 분류 A61K(의약용, 치과용 또는 치료용 제제)의 특허인용수명(TCT) 지수(Q2): 8년
- 기술수명 영향요인: 148점, 획득값 72점
- 최종 경제적 수명: 9년
- 사업화 준비기간: 임상1상 완료에서 승인까지 8년 소요
- 현금흐름 추정기간: 17년으로 산정
현금흐름 추정기간(17년) = 사업화 준비기간(8년) + 기술의 경제적 수명(9년) |
- 특허 잔존기간은 13.5년~19.5년으로 일부 특허의 법적 잔존기간은 현금흐름 추정기간보다 짧지만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의약품의 유효성·안전성 확보 등 허가·등록에 소요되는 기간만큼 5년 내에서 연장)가 인정되는 범위 이내이고 대상기술은 종양미세환경에서 활성화 기간이 길고 부작용이 적으며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다는 등의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특허권 존속 기간 연장제도를 통해 현금흐름 추정기간을 17년으로 산정하였음.
- 임상 소요기간과 출시기간은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음.
< 임상 소요 및 출시기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6차년도 | 7차년도 | 8차년도 | 9차년도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
임상1상 |
임상2상 |
임상3상 |
허가 및 승인 |
출시1 |
||||
구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
출시2 |
출시3 |
출시4 |
출시5 |
출시6 |
출시7 |
출시8 |
출시9 |
(나) 로열티 수입 추정
- 사업모델이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이므로 로열티수입은 치료제 출시 이전의 Front 수입과 출시 이후에 글로벌 제약사가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 매출액 또는 영업이익 등의 일정비율을 로열티로 받는 경상로열티 수입으로 구분하여 추정
① 경상로열티 수입
㉮ 제품 매출액 추정
- 목표시장 : 면역세포치료제를 적용할 수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
- 미국, 유럽, 중국의 비소세포폐암 신규 환자 수 및 향후 증가율을 적용하여 제품 매출액 추정기간 동안 비소세포폐암 신규 환자 수를 전망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중 면역세포치료제 비중(40%)을 통해 대상기술 제품 사용이 예상되는 환자 수를 추정
< 목표 시장규모 >
(단위 : 명)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6차년도 | 7차년도 | 8차년도 | 9차년도 |
비소세포폐암 신규환자수(A) |
1,254,683 | 1,273,990 | 1,293,594 | 1,313,500 | 1,333,712 | 1,354,235 | 1,375,074 | 1,396,234 | 1,417,719 |
면역치료제 적용 환자수 (B=A×40%) |
501,873 | 509,596 | 517,438 | 525,400 | 533,485 | 541,694 | 550,030 | 558,494 | 567,088 |
구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
비소세포폐암 신규환자수(A) |
1,439,535 | 1,461,686 | 1,484,179 | 1,507,017 | 1,530,207 | 1,553,754 | 1,577,663 | 1,601,940 | |
면역치료제 적용 환자수 (B=A×40%) |
575,814 | 584,675 | 593,671 | 602,807 | 612,083 | 621,502 | 631,065 |
- 시장점유율: McKinsey & Company의 신약 출시 10년 후 시장진입 순위에 따른 시장점유율을 활용
- 비소세포폐암 면역치료제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 및 임상시험 중인 치료제의 현황 분석을 통해 대상기술 제품은 5번째로 시장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고 최대 시장점유율이 8%에 이를 것으로 가정
- 시장침투율은 기술성 및 시장성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시장진입 1차년도에 5%의 시장침투율을 보이고, 5차년도에 100% 시장침투율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 최대 시장점유율과 시장침투율을 통해 예상 시장점유율을 추정
< 예상 시장점유율 >
구분 | 9차년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
유럽 시장 |
최대 시장점유율 |
8% | 8% | 8% | 8% | 8% | 8% | 8% | 8% | 8% |
시장침투율 | 5.0% | 25.0% | 50.0% | 75.0% | 100.0% | - | - | - | - | |
예상 시장점유율 |
0.4% | 2.0% | 4.0% | 6.0% | 8.0% | 8.0% | 6.0% | 4.5% | 3.4% |
- 추정 제품 매출액: 면역치료제 적용 환자 수에 예상 시장점유율을 곱하여 대상기술 제품의 적용이 예상되는 환자 수를 구한 후 환자당 시술가격 15백만 원을 곱하여 제품 매출액을 추정
< 추정 제품 매출액>
(단위 명, 백만 원)
구분 | 9차년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환자수(A) | 567,088 | 575,814 | 584,675 | 593,671 | 602,807 | 612,083 | 621,502 | 631,065 | 640,776 |
예상 시장점유율(B) |
0.4% | 2.0% | 4.0% | 6.0% | 8.0% | 8.0% | 6.0% | 4.5% | 3.4% |
목표 환자수 (C=A×B) |
2,234 | 11,342 | 23,033 | 35,080 | 47,494 | 48,225 | 36,725 | 27,968 | 21,298 |
단가(D)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추정 제품 매출액 (E=C×D) |
33,510 | 170,126 | 345,488 | 526,207 | 712,406 | 723,368 | 550,875 | 419,514 | 319,477 |
㉯ 로열티율
- 기준 로열티율: ‘기술가치평가 실무가이드’의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C21)’의 로열 티율 중앙값 6.0%, Medtrack의 임상2상 로열티율 중앙값인 7.76%, 암/종양 로열티율 중앙값 6.50%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6.0%로 결정
- 기술의 비중: 70%
제품기술 분류 | 비중(A) | 세분류 | 비중(B) | (A) x (B) |
0000 단일세포 분리 단계 |
10% | 0000 단일세포 채취 | 40% | 4.00% |
0000 단일세포 분리 | 60% | 6.00% | ||
① 소 계 | 10% | |||
00세포 분리, 배양 및 증식 단계 |
60% | NK세포 분리 | 30% | 18.00% |
NK세포 배양 | 50% | 30.00% | ||
NK세포 증식 | 20% | 12.00% | ||
② 소 계 | 60% | |||
치료제 적용 단계 |
30% | 대상 환자 선정 | 40% | 0% |
치료제 적용 기술 | 60% | 0% | ||
③ 소 계 | 0% | |||
⑤ 총계(①+②+③+④) | 70% |
- 조정계수 : 160.0%
- 개척률 : 100%
- 최종 로열티율 : 6.72%
< 최종 로열티율 >
기준 로열티율 | 기술의 비중 | 조정계수1 | 개척률 | 최종 로열티율 |
6.0% | 70.0% | 160.0% | 100.0% | 6.72% = 6.0%×70.0%×160.0%×100.0% |
㉰ 경상로열티 수입
< 경상로열티 수입 >
(단위 : 백만 원)
구분 | 9차년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제품 매출액 | 33,510 | 170,126 | 345,488 | 526,207 | 712,406 | 723,368 | 550,875 | 419,514 | 319,477 |
로열티율 | 6.72% | ||||||||
경상로열티 수입 |
2,252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② Front 수입
- 개발비용 : 2016~2019년까지 경상개발비와 2020년 이후의 임상비용, 특허권 도입비용, 그리고 임상2상까지의 투입예상 비용 등으로 구성
< 개발비용 >
(단위 : 백만 원)
개발비 | -3차년도 | -2차년도 | -1차년도 | 0차년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합계 |
특허권 | 12,000 | - | - | - | - | - | - | 12,000 |
경상개발비 | 3,000 | 2,500 | 2,500 | 500 | 300 | - | - | 8,800 |
임상비용 | 1,000 | 1,000 | 1,000 | 2,500 | 2,500 | 8,000 | ||
합계 | 15,000 | 2,500 | 3,500 | 1,500 | 1,300 | 2,500 | 2,500 | 28,800 |
- Front 수입은 기술이전 후 임상 단계에 따라 milestone으로 지급될 수 있음.
- 2023년까지 투입되는 개발비용 및 임상비용을 포함한 front 수입은 개발비용 28,800백만 원의 150%인 43,200백만 원으로 산정
- 임상 단계별 비율을 적용하여 단계별 milestone 수입으로 배분하였음.
- 대상기술은 임상2상 이후 기술이전을 계획하고 있으므로 upfront 수입과 milestone 수입을 포함하여 임상2상 완료 후에 front 수입은 초기 milestone 수입을 모두 포함
< fornt 수입 >
(단위 : 백만 원)
사업화 단계 | 임상2상 완료 후 |
임상3상 완료 후 |
NDA | 합계 |
milestone 1 | milestone 2 | milestone 4 | ||
적용 비중 | 38.6% | 26.9% | 34.5% | 100.0% |
수입 확보 시기 | 2025년 | 2027년 | 2029년 | - |
Front 수입 | 16,675 | 11,621 | 14,904 | 43,200 |
③ 로열티수입(경상로열티 수입 + Front 수입)
- 경상로열티 수입과 front 수입을 반영하여 로열티 수입을 추정함
< 로열티 수입 >
(단위 : 백만 원)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6차년도 | 7차년도 | 8차년도 | 9차년도 |
제품 매출액 |
- | - | - | - | - | - | - | - | 33,510 |
로열티율 | 6.72% | ||||||||
경상로열티 수입(A) |
- | - | - | - | - | - | - | - | 2,252 |
front 수입(B) |
- | - | - | - | 16,675 | 0 | 11,621 | 14,904 | |
로열티 수입 (C=A+B) |
- | - | - | - | 16,675 | 0 | 11,621 | - | 17,156 |
구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
제품 매출액 |
170,126 | 345,488 | 526,207 | 712,406 | 723,368 | 550,875 | 419,514 | 319,477 | |
로열티율 | 6.72% | ||||||||
경상로열티 수입(A)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
front 수입(B) |
- | - | - | - | - | - | - | ||
로열티 수입 (C=A+B)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다) 현금흐름
- 로열티 수입에서 개발비용을 제외하고 세전 현금흐름을 산출
- 세전 현금흐름에 법인세를 고려하여 세후 현금흐름을 산출
< 세후 현금흐름 >
(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6차년도 | 7차년도 | 8차년도 | 9차년도 |
로열티 수입 | - | - | - | - | 16,675 | 0 | 11,621 | 0 | 17,156 |
기술개발비용 | 1,300 | 2,500 | 2,500 | ||||||
세전 현금흐름 | -1,300 | -2,500 | -2,500 | 0 | 16,675 | 0 | 11,621 | 0 | 17,156 |
법인세 등 | 0 | 0 | 0 | 3,647 | 0 | 2,535 | 0 | 3,752 | |
세후 현금흐름 | -1,300 | -2,500 | -2,500 | 0 | 13,029 | 0 | 9,086 | 0 | 13,404 |
구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
로열티 수입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
기술개발비용 | |||||||||
세전 현금흐름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
법인세 등 | 2,493 | 5,156 | 8,095 | 11,123 | 11,302 | 8,497 | 6,360 | 4,733 | |
세후 현금흐름 | 8,939 | 18,060 | 27,266 | 36,750 | 37,309 | 28,522 | 21,831 | 16,735 |
(라) 할인율
- 기업규모: 비상장 대기업
- 업종: “연구개발업(M70)”(세부 업종은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M70113)
- 최종 할인율은 9.22%로 산정
< 할인율 >
자기자본비용 | CAPM+규모 프리미엄(비상장 대기업) | ||
9.60% | |||
타인자본비용 | 8.80% | ||
자기자본비율 | 86.71% | 타인자본비율 | 13.29% |
법인세율 | 23.16% | ||
WACC | 9.22% = (9.60%×86.71%) + (8.80%×13.29%) × (1-0.2316) |
- 할인율 9.22%를 적용한 대상기술의 미래현금흐름 현재가치
< 세후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
(단위 : 백만 원)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6차년도 | 7차년도 | 8차년도 | 9차년도 |
세후 현금흐름 | -1,300 | -2,500 | -2,500 | 0 | 13,029 | 0 | 9,086 | 0 | 13,404 |
현가계수 | 0.9156 | 0.8383 | 0.7675 | 0.7027 | 0.6434 | 0.5891 | 0.5394 | 0.4938 | 0.4521 |
현재가치 | -1,190 | -2,096 | -1,919 | 0 | 8,383 | 0 | 4,901 | 0 | 6,060 |
구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
세후 현금흐름 | 8,939 | 18,060 | 27,266 | 36,750 | 37,309 | 28,522 | 21,831 | 16,735 | |
현가계수 | 0.4140 | 0.3790 | 0.3470 | 0.3177 | 0.2909 | 0.2664 | 0.2439 | 0.2233 | |
현재가치 | 3,701 | 6,845 | 9,462 | 11,677 | 10,854 | 7,597 | 5,324 | 3,737 |
※ 평가기준일 : 2021년 1월 1일
※ 1차년도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이며, 이후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사업화년도 적용
(마) 신약 승인확률
- 대상기술 제품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서 암/종양 중 고형암의 임상 성공확률을 적용하였음
- 항암제 암종별 성공확률에 의하면, 고형암의 임상1상 성공확률이 64.1%, 임상2상 성공확률이 23.0%, 임상3상 성공확률이 34.2%, 품목승인확률이 79.6%로 임상1상에서 승인까지 성공확률은 4.0%로 산정되었음
< 신약 승인확률 >
구분 | 전임상 | 임상1상 | 임상2상 | 임상3상 | NDA | 신약 승인 |
현재 상태 | 완료 | 진행 | ||||
성공확률 | 100% | 64.1% | 23.0% | 34.2% | 79.6% | |
신약 승인확률 | 100% |
100% (100 x 100) |
64.1.% (100 x 64.1) |
14.7% (64.1 x 23.0) |
5.0% (14.7 x 34.2) |
4.0% (5.0 x 79.6) |
적용시기 | - | 임상1상 | 임상2상 | 임상3상 | 허가 승인 | 출시 |
(바) 기술가치 산정
- 연차별로 추정된 현재가치에 신약 승인확률을 고려하여 위험이 조정된 현금흐름을 추정하였으며, 위험이 조정된 현금흐름의 합계인 기술가치는 339백만 원으로 산정됨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6차년도 | 7차년도 | 8차년도 | 9차년도 |
매출액 | 0 | 0 | 0 | 0 | 0 | 0 | 0 | 0 | 33,510 |
로열티율 | 6.72% | ||||||||
경상로열티 수입 | 0 | 0 | 0 | 0 | 0 | 0 | 0 | 0 | 2,252 |
front 수입 | 0 | 0 | 0 | 0 | 16,675 | 0 | 11,621 | 0 | 14,904 |
로열티 수입 | 0 | 0 | 0 | 0 | 16,675 | 0 | 11,621 | 0 | 17,156 |
기술개발비용 | 1,300 | 2,500 | 2,500 | 0 | 0 | 0 | 0 | 0 | 0 |
세전 현금흐름 | -1,300 | -2,500 | -2,500 | 0 | 16,675 | 0 | 11,621 | 0 | 17,156 |
법인세 등 | 0 | 0 | 0 | 0 | 3,647 | 0 | 2,535 | 0 | 3,752 |
세후 현금흐름 | -1,300 | -2,500 | -2,500 | 0 | 13,029 | 0 | 9,086 | 0 | 13,404 |
현가계수 | 0.9156 | 0.8383 | 0.7675 | 0.7027 | 0.6434 | 0.5891 | 0.5394 | 0.4938 | 0.4521 |
현재가치 | -1,190 | -2,096 | -1,919 | 0 | 8,383 | 0 | 4,901 | 0 | 6,060 |
신약 승인확률 | 100.0% | 64.1% | 64.1% | 64.1% | 14.7% | 14.7% | 5.0% | 5.0% | 4.0% |
위험조정 순현재가치 |
-1,190 | -1,343 | -1,230 | 0 | 1,236 | 0 | 247 | 0 | 243 |
구분 | 10차년도 | 11차년도 | 12차년도 | 13차년도 | 14차년도 | 15차년도 | 16차년도 | 17차년도 | 합계 |
매출액 | 170,126 | 345,488 | 526,207 | 712,406 | 723,368 | 550,875 | 419,514 | 319,477 | 3,800,970 |
로열티율 | 6.72% | ||||||||
경상로열티 수입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255,425 |
front 수입 | 0 | 0 | 0 | 0 | 0 | 0 | 0 | 0 | 43,200 |
로열티 수입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298,625 |
기술개발비용 | 0 | 0 | 0 | 0 | 0 | 0 | 0 | 0 | 6,300 |
세전 현금흐름 | 11,432 | 23,217 | 35,361 | 47,874 | 48,610 | 37,019 | 28,191 | 21,469 | 292,325 |
법인세 등 | 2,493 | 5,156 | 8,095 | 11,123 | 11,302 | 8,497 | 6,360 | 4,733 | 67,694 |
세후 현금흐름 | 8,939 | 18,060 | 27,266 | 36,750 | 37,309 | 28,522 | 21,831 | 16,735 | 224,631 |
현가계수 | 0.4140 | 0.3790 | 0.3470 | 0.3177 | 0.2909 | 0.2664 | 0.2439 | 0.2233 | |
현재가치 | 3,701 | 6,845 | 9,462 | 11,677 | 10,854 | 7,597 | 5,324 | 3,737 | 73,336 |
신약 승인확률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
위험조정 순현재가치 |
149 | 275 | 380 | 469 | 436 | 305 | 214 | 150 | 339 |
기술가치 | 339 |
※ 평가기준일 : 2021년 1월 1일
※ 1차년도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이며, 이후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사업화년도 적용
지금까지 로열티율을 이용한 rNPV법을 사례로 알아보았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눈으로 따라오면 꽤 쉽습니다.
그런데 단계별로 직접 "왜 이렇게 구했을까?" 확인하면서 따라오셨다면 막히는 부분도 꽤 있었을 것입니다.
조금 더 공부가 되어 있으셨다면 "이건 어디에서 구한 값일까?"라고 하셨을 텐데요.
그렇다면 기술가치평가를 마스터하셨다고 해도 무방하겠네요.
그럼 다음 글에서 가치평가와 관련된 또 다른 주제로 만나겠습니다.
![]() |
|
기술거래기관 / 기술가치평가기관 발명의평가기관 사업화전문회사 / R&BD기획기관 가치평가 상담 rohmh@danapat.com 010 - 6430 - 2002 |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의 정의와 발생원천 (0) | 2023.05.18 |
---|---|
기술가치평가 무형자산과 기업 (0) | 2023.05.17 |
기술가치평가-rNPV법08-case study1 (0) | 2023.05.15 |
기술가치평가-rNPV법07-임상 단계별 성공확률 (0) | 2023.05.12 |
기술가치평가-rNPV법06-로열티 수입 (0) | 2023.05.12 |
댓글